본문 바로가기

권력2

일자일언一字一言21-현賢 일자일언一字一言21-현賢 글 : 손종흠어짐, 현명한, 도덕적인, 재능이 있는 등의 뜻으로 해석되는 현(賢)은 뜻을 나타내는 글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글자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형성자(形聲字)에 속하며, 두 글자가 아래위로 결합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賢은 아래에 있는 貝가 뜻을 담당하고, 위에 있는 臤(어질 현, 굳을 견)이 소리를 담당한다. 아래에 있는 貝가 없는 글자도 같은 뜻으로 쓰이는데, 이것은 賢의 고자(古字), 혹은 속자(俗字)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아래와 위의 두 글자가 모두 뜻을 담당하기도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이 글자의 본래 뜻은 일반적으로 쓰이는 것과 상당한 거리가 있다는 점이다. 賢의 기본적인 뜻은 재물이나 재산 늘리는 일을 잘하는 사람, 그런.. 專欄 | 百科事典/寫作 | 卽興文 2025. 2. 3.
일자일언一字一言3-광狂 일자일언一字一言3-광狂  글 : 손종흠정신에 이상이 생겨 말과 행동이 보통 사람과 다르게 된 상태로 미친 것을 지칭하는 狂의 어원은 아주 흥미롭다. 원래 뜻은 ‘미쳐 날뛰는 개’라는 의미를 가졌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사람 중에 정신이 이상해진 상태를 지칭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개념이 확장되었다. 이 글자는 개를 나타내는 犬(개 견)과 풀과 나무가 제멋대로 무성하게 나서 자라는 것을 가리키는 㞷(무성할 왕)이 합쳐진 것으로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형성자(形聲字)에 속한다. 犬은 늑대과에 속하는 동물의 옆모습을 본떠서 만든 상형자(象形字)이다. 늑대과에 속하는 동물은 집단으로 생활하면서 뚜렷한 위계질서를 지닌 사회를 형성하는 것이 핵심적인 특징이다. 이들이 위계질서에 의해 성립된 사회체계를 가지고 우두.. 專欄 | 百科事典/寫作 | 卽興文 2025. 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