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漢文工夫 잘하는 秘訣

赤松子 - 내 블로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2025. 3. 3.
반응형

漢文工夫 잘하는 秘訣

오늘은 한문공부(漢文工夫)를 잘하는 비결(秘訣)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잘 숙지(熟知)하시길 바랍니다.

옛날엔 천자문(千字文), 사자소학(四字小學), 동몽선습(童蒙先習) 등을 성독(聲讀; 소리 내어 읽음)하면서 훈장님 앞에서 하나하나 익혀 배워나갔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중국어학원(中國語學院)이 많이 생겨나서 강의비(講義費)만 지불(支拂)하면서 어렵지 않게 배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경제불황 (經濟不況)에 환경조건(環境條件)도 여의치 못 되는 분들은 일단 딴 방법을 모색(摸索)해야 합니다. 한문과 한자, 한자어, 단문, 한시 등과 친해지려면 자주 대면(對面)해야 합니다. 그러다 보면 조금씩 방향(方向)이 보입니다. 즉 자습(自習)이란 무척 어렵습니다. 그러나 아무리 눈코 뜰 새가 없다 해도 한자 회화들을 무조건 암송(暗誦)하세요. 중국어 기초의 기초는 무조건 암송이니까요.

일단 시작하는 바엔 목표(目標)를 정하는 것이 중요(重要)합니다. 한자의 구성(構成)을 알면 한자에 대한 바른 이해(理解)가 가능해 집니다. 한자는 사물을 그대로 그리는 경우(境遇)와 그린 그림을 서로 합치는 경우, 그리고 추상적(抽象的)인 약속이나 빌려다 사용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특히 단독적(單獨的)인 모양과 모양을 합치는 과정(過程)을 이해하는 것은 한자 이해의 지름길입니다. (한자는 3개 요소로 구성되었는데 즉 모양, 뜻, 소리입니다.)

육서(六書) 분류나 자원 등은 설문해자(說文解字)를 중심으로 자전(字典)의 일반적 학설(學說)를 따랐습니다. 여러 이설(異說)도 있습니다. 한자의 근원(根原)을 중심으로 한자의 발전과 활용을 살펴보면;

한글은 표음문자(表音文字)인데, 즉 소리글자이고 번자체(繁體字)를 사용하며 한자는 표의문자(表意文字)인데, 즉 뜻글자이며 간자체(簡體字)를 씁니다. 예: 번자체(繁體字)로 쓰는 마(馬)의 획수는 9개이고 간자체(簡體字)로 쓰는 마(马)의 획수는 3개입니다...

등산(登山)도 마찬가지입니다. 사람들이 산을 쳐다보면서 산에 한 번 가고 싶은데 어떻게 할까? 하고 생각만 하다가는 평생(平生) 한 번 산에 못 오르게 됩니다. 산에 가려면 일단 날짜를 정하고, 같이 갈 사람을 알아보고, 선배(先輩)들에게 물어 필요한 장비(裝備)를 준비하고, 초보자(初步者)에게 어느 정도의 산이 알맞은 지 알아보고, 그리고는 집을 나서야 합니다. 낮고 쉬운 산부터 시작하여 경험(經驗)을 쌓아가다 보면 자신(自信)이 생겨 높은 산에도 오를 수 있고, 험한 바위산 등반(登攀)도 가능해집니다.

한문공부(漢文工夫)도 마찬가지입니다.

우선 공부를 시작해야겠다는 마음가짐이 중요(重要)하고요. 공부해야 할 교재(敎材)를 준비하고, 인터넷이나 동호회(同好會)의 강의를 활용하고, 한문서적(漢文書籍)과 친해지도록 노력하고, 틈나는 대로 읽고 써서 스스로 익히는 수밖에는 없습니다. 수많은 경험자(經驗者)들이 인터넷서핑(网络冲浪)을 통해 구한 한문공부(漢文工夫) 잘하는 비결(秘訣)입니다.

 

漢文工夫 잘하는 秘訣

1. 특별(特別)한 것은 없다.

그냥 많이 써라.

많이 쓸수록 한자(漢字)와 친해질 수 있다.

2. 반복학습(反復學習)을 하여라.

반복(反復)하여 읽고 써야 많이 외울 수 있다.

3. 한문책을 외운다.

한문책은 기초가 수록(收錄)되어 있기 때문에

그냥 많이 읽고 보고 쓰면 실력(實力)이 향상된다.

4. 어휘(語彙)를 늘려라.

역시 언어(국어, 영어, 한문)의 핵심(核心)은 어휘이다.

절대 문법(絶對文法)이 아니다.

어휘를 늘리는 것을 우선(優先)으로 공부를 하라.

 

이 네 가지를 잘 응용(應用)하면 기대이상의 효과(效果)를 얻게 될 것인바 우선 먼저 강한 의지력(意志力)과 끊임없는 탐구욕(探究慾), 그리고 끝까지 파고들면서 배우려는 일념(一念)으로 임한다면 어느 땐가는 여러분들도 한문의 달인(達人)이 될 수도 있을 겁니다. 파이팅!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