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어란 무엇인가?

赤松子 - 내 블로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2025. 3. 4.
반응형

중국어란 무엇인가?

중국어란 무엇인가?
1, 중국어란?

가, 한어(汉语)와 보통화(普通话)
중국은 94%의 한족(漢族)이 한어(漢語)를 사용하고 있으며, 55개의 소수민족들이 저마다 고유 언어를 가지고 공존하는 다민족국가이다, 한어도 지역별로 여러 방언이 있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표준적인 공통어로 통용되는 언어를 보통화(普通話)라고 한다.

보통화는 북경음을 표준으로 하고, 북방어(한족의 70% 거주지)를 기초 어휘로 하여 현대백화문의 어법을 따른 언어인데 이는 1955년 중국의 공식 국가언어 명칭으로 명명되었다.

나, 간체자(简体字)
복잡한 한자(繁体字)를 간략하게 줄여서 실용화한 글씨를 간체자라고 한다, 이 간체자 발현은 한대(漢代)때부터 비롯되었고, 남북조시대 현저히 간략화 되어 수당(隋唐)때는 속체자(俗體字)로 통용되었다.

중공은 문맹퇴치를 목적으로 1955년 한자 간략화방안을 시작하여 1986년 상용간체자 2.235자를 확정하였다, 간체자는 고대한자 채용, 초서의 해서화, 획필의 간략화, 자체일부 생략, 편방의 간략화, 동음자의 채용, 회의자 원리를 응용하는 방식으로 간략화 하였다.

다, 한어병음(汉语倂音)
한자는 표의문자(表意文字)로 글자를 보면 뜻은 쉽게 알 수 있으나 득음(得音)과 표기는 쉽지 않다, 청나라 강희제의 칙령에 의해 (1711) 康熙字典(강희자전)이 편집되어 매 글자마다 소리내는 방법을 초성, 중성, 종성으로 구분하여 이를 정형화하여, 동양3국인 한국, 일본, 중국에서 사용하였었다.


자유중국의 국민당 정부에서 1918년 주음부호(注音符号)제정 [예 ; ㄅ ㄆ ㄇ ㄈ ㄉ ㄊ ㄋ ㄌ ㄍ ㄎ ㄏ ㄐ ㄑ ㄒ ㄓ ㄔ ㄕ ㄖ ㄗ ㄘ ㄙ ㄚ..] 공포한 중국어음 표기법으로 사용하고 있고, 중국은 1958. 02월 라틴어 자모를 이용하여 현대 중국어보통화의 음성표기 방법인 “한어병음 방안”을 비준 공포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어병음자모는 알파벳 26자중 [V]자를 제외한 25자와 변모음 [ü]로 구성되어 있고, 성모 21개와 운모 39개를 이용하여 표기하고 있다.

2, 중국어의 특징

가, 단음절어(单音节语)
한어를 표기하는 한자는 1글자가 1개의 음절로 되어 있고 글자 하나하나는 모두 제각기 다른 뜻을 가지고 있다.

중국어 ; 妈 mā 마, 神 shén 션, 看 kàn 칸 등 단음절 인데
한국어 ; 엄마 2음절, 하나님 3음절, 보다 2음절 이다.

나, 성조(声调)
현대 중국어의 모든 단음절사는, 자신만의 발음을 소리 내면서 서로 다른 네 종류의 음폭을 표현해야 한다, 이를 성조라 하는데 성조는 일종의 악센트로 고(高), 저(底), 승(升), 강(降)의 4가지가 있어 4성이라고도 한다.

예컨대 ma (마) 라는 음절에 성조가 붙는 대로 뜻을 달리함을 볼 수 있다.
1성 - 妈 mā 엄마, 2성 - 麻 má 삼, 3성 - 马 mǎ 말, 4성 - 骂[駡] mà 욕할 매

다, 고립어(孤立语)
중국어는 낱말의 활용이 없고 시제(時制), 성, 수(數), 인칭(人稱), 등으로 부터 영향을 받아 낱말 자체가 변화하는 일이 없다, 하나의 낱말을 형성하기 때문에 낱말군, 혹은 완전한 문장을 형성하기 위해선 개별적인 낱말들이 일정한 순서에 입각하여 부가, 조합되어야 하는 특성이 지닌다, 언어학적 관점에서는 이러한 언어를 흔히 고립어 또는 독립어라 한다.

라, 고정적인 어순
중국어는 형태변화가 결여된 까닭에 단음절 절사들이 모여 어휘의 무리를 이루고, 나아가 완전한 문장을 구성할 때 어순이 매우 중요한 어법적 표지 기능을 수행한다, 즉 문장 속에 놓인 위치에 따라 동일한 어휘일지라도, 그 어법적 관계가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我 爱 你 I love you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 [주어]
wǒ ài nǐ (워 아이 니)
你 爱 我 You love me 당신은 나를 사랑합니다, [목적어]
nǐ ài wǒ (니 아이 워)
我 爱 过 你 I loved you 나는 당신을 사랑했습니다, [과거]
wǒ ài guò ni (워 아이 꾸어 니)
我 [wǒ 워]는 동일한 글자로 주어와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고 동사 爱[ài 아이]는 과거와 현재에 관계없이 글자가 바뀌지 않는다.

마, 다양한 허사
관계사가 발달하지 않은 중국어에서, 어순 외에 각 어휘 간에 어법적 관계를 명시하기 위한 표시로 허사가 상용되며 그 활용 폭이 매우 넓다, 허사를 사용하므로써, 혹은 허사의 유무에 따라 의미가 현격히 달라지는 것뿐만 아니라 허사와 관련이 있는 실사의 기능과 용법까지 변화를 일으키기도 한다.

바, 불분명한 품사구분
통상 의미, 형태, 기능에 의거하여 품사를 분류하는데, 중국어는 형태 표지가 거의 발달하지 않아서 의미와 기능에 의하여 품사를 분류하지만, 한 어휘가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그 의미와 기능조차 변하기 때문에 품사 분류의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3, 우리말의 공통 및 유사점 

가, 사용하는 한자가 같은 경우(우리말의 60%)
汉文 Hànwén(한원).한문,   学习 xuéxí(쉬에시).학습,   欢迎 huānyíng(후안잉) 환영,   学校 xuéxiào(쉬에씨아오)학교,   学生 xué‧sheng(쑤에셩) 학생,   铅笔 qiānbǐ(치엔비) 연필,   中国 Zhōngguó(쭝꾸오) 중국,   政治 zhèngzhì(졍즈) 정치,   经济 jīngjì(징지) 경제,   ㅍ社会 shèhuì(써훠에이) 사회,   思想 sīxiǎng(쓰씨앙) 사상.   宗教 zōngjiào(쫑지아오) 종교,   文化 wénhuà(원후아) 문화.   语言 yǔyán.(위이엔) 언어

나, 반대로 쓰는 경우
소개 紹介 → 介绍 jièshào(지에샤오). 구원 救援 → 援救 yuánjiù(이웬지오우). 구걸 求乞 → 乞求 qǐqiú(치치오우). 왕래 往來 → 来往 lái‧wang(라이왕), 도달 到達 → 达到 dádào(따따오)

다, 기타 공통어들
연월일[年月日 niányuèrì](니엔위에르)과   작일[昨日 zuórì](쭈어르)   금일[今日 jīnrì](진르).    명일[明日 míngrì](민르) 등   시제[时态 shítài](스타이)와
동서남북[东西南北 dōng xī nán běi](뚱시난배이).   전후좌우[前后左右 qiánhòu zuǒyòu](치엔허우주오여우),   상하[上下shàngxià](샹씨아).   방위사方位词 [fāngwèicí](황위이츠)와
1, 2, 3등 서수의 십진법[十进法 shíjìnfǎ](스진파)등 헤아릴 수 없이 많아 용어들이 친숙하게 느껴진다.

4, 한글 음과 중국발음의 유사점

가, 우리 한글의 [ㄴ, ㅁ]을 중국에서 [ㄴ (n)] 발음한다.
韩[韓] 나라 이름 한 → Hán 한,   门[門] 문 문 → mén 먼,   看 볼간 xīn → kàn 칸,   金 김 → Jīn. 진,   念 생각할 념 → niàn 니엔,   心 마음 심 → xīn 신,

나, 우리의 [ㅇ]을 중국에서도 [ㅇ(ng)]으로 발음한다
江 물 이름 강 → jiāng 지앙,   光 빛 광 → guāng 꾸앙,   羊 양 양 → yáng양

다 우리의 모음 [ㅐ]는 상당수가 [ㅏ - ㅣ]로 발음한다.
海 바다 해 → hǎi 하이,   爱 사랑 애 → ài 아이,   开 열 개 → kāi 카이

5, 표의문자로 단어에 의미가 있다.

飞机 fēijī(훼이지). → 나르는 기계 = 비행기
电脑 diànnǎo(띠엔나오) → 번개 두뇌 = 컴퓨터
洗手间 xǐshǒujiān(씨셔우지엔) → 손 씻는 공간 = 화장실

6, 부수는 뜻을 유추하는 열쇠다.

心 xīn(씬) 마음 심변 - 慢 màn(만) 게으를 만, 情 qíng(칭) 뜻 정
人 rén 사람 인변 - 他 tā(타) 남 타, 位 wèi()웨이 자리 위
手 shǒu 손 수변 - 打 dǎ(타) 칠 타, 技 jì(지) 재주 기
水 shuǐ 물 수변 - 江 jiāng(지앙) 물 이름 강, 河 hé(허) 물 이름 하
食 shí 먹을 식변 - 饮[飮] yìn(인) 마시게 할 음, 饱 bǎo(빠오) 배부를 포

7, 소리의 발성법에 있어서

가, 된소리 밭침이 없다
사람이 사는 “집“란 소리낼 때, 家 jiā ”지이아“라고 소릴내되 성모인 "ㅈ"은 약하게 운모인 ”이아“를 높은 소리로 길게 뽑는다, 또 감사하다고 말할 때 “谢谢 xiè‧xie” 라고 말하는데, 이들은 ”씨이에, 씨이에“라고 한자 한자를 정확하게 발음은 하고 있다.

나, 성조가 중요하다
똑같은 발음소리라도 성조에 따라 그 말의 뜻이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마 마마 치 마” 麻 媽 骑 馬 [má māma qí mǎ]라고 하면 “마씨 아주머니가 말을 탓다”가 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