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專欄 | 百科事典/漢字 | 部首引8

중국어란 무엇인가? 중국어란 무엇인가? 중국어란 무엇인가? 1, 중국어란? 가, 한어(汉语)와 보통화(普通话) 중국은 94%의 한족(漢族)이 한어(漢語)를 사용하고 있으며, 55개의 소수민족들이 저마다 고유 언어를 가지고 공존하는 다민족국가이다, 한어도 지역별로 여러 방언이 있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표준적인 공통어로 통용되는 언어를 보통화(普通話)라고 한다. 보통화는 북경음을 표준으로 하고, 북방어(한족의 70% 거주지)를 기초 어휘로 하여 현대백화문의 어법을 따른 언어인데 이는 1955년 중국의 공식 국가언어 명칭으로 명명되었다. 나, 간체자(简体字) 복잡한 한자(繁体字)를 간략하게 줄여서 실용화한 글씨를 간체자라고 한다, 이 간체자 발현은 한대(漢代)때부터 비롯되었고, 남북조시대 현저히 간략화 되어 수당(隋唐)때는 .. 專欄 | 百科事典/漢字 | 部首引 2025. 3. 4.
漢文工夫 잘하는 秘訣 漢文工夫 잘하는 秘訣오늘은 한문공부(漢文工夫)를 잘하는 비결(秘訣)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잘 숙지(熟知)하시길 바랍니다.옛날엔 천자문(千字文), 사자소학(四字小學), 동몽선습(童蒙先習) 등을 성독(聲讀; 소리 내어 읽음)하면서 훈장님 앞에서 하나하나 익혀 배워나갔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중국어학원(中國語學院)이 많이 생겨나서 강의비(講義費)만 지불(支拂)하면서 어렵지 않게 배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경제불황 (經濟不況)에 환경조건(環境條件)도 여의치 못 되는 분들은 일단 딴 방법을 모색(摸索)해야 합니다. 한문과 한자, 한자어, 단문, 한시 등과 친해지려면 자주 대면(對面)해야 합니다. 그러다 보면 조금씩 방향(方向)이 보입니다. 즉 자습(自習)이란 무척 어렵습니다. 그러나 아무리 눈코 뜰 새가 없다.. 專欄 | 百科事典/漢字 | 部首引 2025. 3. 3.
중국어의 문장성분(中國語文章成分) 중국어의 문장성분(中國語文章成分)주어(主語): 술어(述語)가 설명(說明)하려는 사람이나 사물(事物)을 가리킨다. 술어(述語): 위어(謂語)라고 하며 주어(主語)를 설명(說明)한다. 빈어(宾語): 목적어(目的語)라고도 하며 동사(動詞) 뒤에 붙어서 동작(動作)에 관련(關聯)된 사람이나 사물(事物)을 나타낸다. 보어(補語): 동사나 형용사(形容詞) 뒤에 붙어서 동사(動詞)나 형용사(形容詞)를 보충 설명(補充說明)한다. 한정어(定語): 명사(名詞) 앞에서 명사(名詞)를 수식(修飾)하거나 제한(制限)한다. 언어수량사(言語數量詞). [수사(數詞)와 양사(量詞)를 연용(連用)했을 때의 합칭(合稱). 예를 들면 ‘去一次’의 ‘一次’, ‘一群人’의 ‘一群’ 따위]상황어(狀語): 동사나 형용사(形容詞) 앞에서 동사(動詞.. 專欄 | 百科事典/漢字 | 部首引 2025. 3. 3.
한자로 풀이하는 지족보신(知足保身) 한자로 풀이하는 지족보신(知足保身) ◑글자풀이: 알지(知) 발 족(足) 지킬 보(保) 몸 신(身). ◑뜻풀이: 만족할 줄 알면 몸을 지킬 수 있다는 말. ◑출처: 정민(鄭珉)의 세설신어(世說新語). ◉ 알 지(知)는 화살 시(矢)와 입 구(口)가 결합한 형태(形態)로 화살이 과녁을 꿰뚫듯 어떤 상황을 판단(判斷)하고 해결하여 말(口)할 수 있는 능력이 '지식(知識)'에서 비롯된다는 뜻을 담는다. 또 인지적(認知的)인 '앎'에 시간(日)과 연륜이 더해지면 '지혜(智)'가 된다고 여긴 고대인(古代人)의 인식 세계가 엿보인다. 과녁처럼 우리 앞에 놓여 해결(解決)을 기다리는 복잡한 문제를 단번에 꿰뚫을 수 있는 '지식(知識)'은 무엇일까? 공자(孔子)는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이.. 專欄 | 百科事典/漢字 | 部首引 2025. 3. 3.
중국어는 암기가 중요 중국어는 암기가 중요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늘 외국어(外國語)를 접하게 됩니다. 특히 해외진출(海外進出)이 잦아짐에 따라 현지인(現地人)들과의 소통(疏通)이 불가피(不可避)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젠 외국어는 필수적인 요인(要因)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외국어를 배우는 분들에게 다소나마 도움을 줄려고 ‘나눔을 즐기는 남자’가 외국어 특히 중국어에 대한 나눔을 공유(公有)하고자 합니다.1. 자기가 아는 표현(어휘)으로 의사전달(意思傳達)을 해야 합니다.중국어 배움에서 말하기의 목적(目的)은 내 의사전달에 있습니다. 간단하든 쉽든 중국인이 내 의사(意思)를 알아들을 수 있으면 회화(會話)의 일차적 목적은 달성(達成)된 겁니다. 그러므로 말할 때 관용적(慣用的), 비유적(比喩的), 문학적 표현(文學的表現)은 일단.. 專欄 | 百科事典/漢字 | 部首引 2025. 3. 3.
나를 알아주는 사람인 지음(知音) 이야기 나를 알아주는 사람인 지음(知音) 이야기知我者,謂我心憂; 不知我者,謂我何求。나를 알아주는 사람, 내 마음 시름겹다 하고, 나를 몰라주는 사람, 나에게 무얼 구하느냐고 한다 --《詩經(시경)》이 명구(名句)는 "나를 이해하는 사람은 내가 슬프다 하고, 나를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은 내가 무엇을 추구하는지 묻는다"는 의미다. 이 구절은 간결하고 평이(平易)한 언어로 깊은 사상(思想)을 표현하고 있다.인생에서 정말 소중한 사람들 중 한 명이라고 할 수 있는 '지음(知音)'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 또한, 우리가 지음(知音)이 되어주는 사람들에게 어떤 감사와 소중함을 느끼며 살아가야 하는지를 깨닫게 될까?반평생 사랑만큼 우정(友情)도 갈망했다. 사랑은 이루었지만 우정의 진실에 대해 좀 혼동(混同)된다. 친교.. 專欄 | 百科事典/漢字 | 部首引 2025. 3. 3.
성어로 풀이하는 은감불원(殷鑑不遠) 성어로 풀이하는 은감불원(殷鑑不遠) ● 성어: 「은(殷)나라 왕(王)이 거울삼을 만한 것은 먼 데 있지 않다.」는 뜻으로, 본받을 만한 좋은 전례(前例)는 가까운 곳에 있다는 말. 유의어: 覆車之戒(복거지계)  -- 출전 시경(詩經) ●유래1: 하나라(夏--)의 걸왕(桀王)은 폭군(暴君)으로 유명(有名)하나, 원래는 지혜(智慧)와 용기(勇氣)를 겸비(兼備)하여 왕자(王子)다웠다. 그러다가 유시씨(有施氏)의 나라를 정벌(征伐)했을 때에 공물(貢物)로 보내 온 매희(妹嬉)라는 여인(女人)에 빠진 나머지 온갖 사치(奢侈)와 음락을 계속하는 바람에 국력(國力)은 피폐(疲弊)하고 백성(百姓)들의 원망(怨望)이 높아졌다. 이러한 걸왕(桀王)의 죄를 보다 못한 은나라(殷--)의 탕왕(湯王)이 천명(天命)이라 하고 중.. 專欄 | 百科事典/漢字 | 部首引 2025. 3. 3.
그림으로 보는 봄(春) 그림으로 보는 봄(春) 春來不似春(춘래불사춘)春 봄 춘 來 올 래(내) 不 아닐 부 似 닮을 사 1.「봄은 왔지만 봄 같지가 않다.」는 뜻으로, 자신(自身)의 처지(處地)를 비관(悲觀)함. = 출전: 동방규(東方叫)의 시(詩) 유래왕소군(王昭君)은 전한(前漢) 원제(元帝)의 궁녀(宮女)로 이름은 장(嬙)이었고, 소군(昭君)은 그의 자(字)였다. 그녀는 절세(絶世)의 미인(美人)으로, 고대(古代) 중국(中國) 4대 미녀(美女) 중(中) 1명으로 손꼽히는 인물(人物)이었다. 그러나 흉노(匈奴)와의 화친(和親) 정책(政策)에 의해 흉노왕(匈奴王)에게 시집을 가게 된 불운(不運)한 여자(女子)였다. 이를 두고 지은 동방규(東方叫)의 시(詩)에 이러한 구절(句節)이 나온다. 「오랑캐 땅에 꽃과 풀이 없으니, 봄은.. 專欄 | 百科事典/漢字 | 部首引 2025.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