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一字一言4

일자일언一字一言22-처處 일자일언一字一言22-처處 글 : 손종흠곳, 때, 장소, 거주, 처리 등의 뜻으로 쓰이고 있는 글자인 處(곳 처)는 그것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의미가 이런 것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어서 눈길을 끈다. 이 글자의 기본적인 뜻은, 곳, 장소 등과 같은 긍정적인 의미보다는 멈추다, 움직이지 않는다, 정지하다 등 상대 부정의 뜻을 포함하고 있는 것에서 시작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바꾸어 말하자면, 지금 우리가 일반적으로 쓰고 있는 뜻은 원래의 그것에서 확장된 의미라는 것이다. 글자의 구성요소와 결합 방식을 살펴보자. 處는 虎(범 호), 夊(천천히 걸을 쇠), 几(안석 궤)의 세 가지 구성 요소를 가지고 있는 글자인데, 갑골문(甲骨文), 진시황 시대에 만들어진 소전(小篆) 등에 보이는 초기의 모양은 処(곳 처).. 專欄 | 百科事典/寫作 | 卽興文 2025. 2. 3.
일자일언一字一言3-광狂 일자일언一字一言3-광狂  글 : 손종흠정신에 이상이 생겨 말과 행동이 보통 사람과 다르게 된 상태로 미친 것을 지칭하는 狂의 어원은 아주 흥미롭다. 원래 뜻은 ‘미쳐 날뛰는 개’라는 의미를 가졌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사람 중에 정신이 이상해진 상태를 지칭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개념이 확장되었다. 이 글자는 개를 나타내는 犬(개 견)과 풀과 나무가 제멋대로 무성하게 나서 자라는 것을 가리키는 㞷(무성할 왕)이 합쳐진 것으로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형성자(形聲字)에 속한다. 犬은 늑대과에 속하는 동물의 옆모습을 본떠서 만든 상형자(象形字)이다. 늑대과에 속하는 동물은 집단으로 생활하면서 뚜렷한 위계질서를 지닌 사회를 형성하는 것이 핵심적인 특징이다. 이들이 위계질서에 의해 성립된 사회체계를 가지고 우두.. 專欄 | 百科事典/寫作 | 卽興文 2025. 2. 2.
일자일언一字一言2-언言 일자일언一字一言2-언言 글 : 손종흠사람의 생각이나 느낌 따위가 일정한 체계에 의해 조직화한 소리로 목구멍을 통해 나오는 소리인 말을 나타내는 言은 의사를 전달하기 위한 핵심적인 수단임과 동시에 다양한 구실을 해내는 매우 중요한 존재다. 중요한 의미와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말이기 때문에 이것을 지칭하는 한자는 상당히 많은 편이다(言, 語, 說, 話, 譚, 辭, 談). 그중에서 言은 가장 기본적인 의미를 지니므로 이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사물현상의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기 위한 지사자(指事字)인 言은 혀를 나타내는 舌(설)과 말이 혀 밖으로 나오는 모양을 표시하는 맨 위의 한 획이 합쳐진 형태를 가지고 있다. 글자의 맨 위에 있는 하나의 가로 획(一), 혹은 점(丶)은 입과 혀를 통해 만들어진 .. 專欄 | 百科事典/寫作 | 卽興文 2025. 2. 2.
일자일언一字一言 1-법法 일자일언一字一言 1-법法  일자일언一字一言 1-법法우리가 사람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는 규칙이나 규정을 나타내는 法이란 글자는 어원이 매우 재미있다. 法의 원 글자는 灋(법 법)이었다. 灋은 물을 나타내는...sinology.org손종흠图片来源 : 法篆书书法字典  우리가 사람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는 규칙이나 규정을 나타내는 法이란 글자는 어원이 매우 재미있다. 法의 원 글자는 灋(법 법)이었다.灋은 물을 나타내는 水(수), 해치라는 전설상의 동물을 지칭하는 廌(치), 떠나다, 가다, 가두다, 분리하다는 뜻을 가지는 去(거)가 합쳐진 것으로 둘 이상의 글자가 가진 뜻이 결합해서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는 회의자(會意字)이다. 灋이란 글자가 워.. 專欄 | 百科事典/寫作 | 卽興文 2025. 2. 2.